기타
서버 여는법 정리
sihyeong
2023. 7. 10. 00:33
통신 기본원리
- 기본원리는 아래의 사진과 같다.
- (1) 사용자가 https://naver.com를 입력하면
(2) DNS서버가 해당 주소를 외부 IP로 바꿔주게 되고
(3) 해당 외부 IP주소를 찾아가면
(4) 라우터 입력값을 받아 서버 내부의 목적지를 정하고
(5) 목적지를 내부 IP로 바꾼다음 해당 포트로 찾아가게 되면 해당 서비스에게 데이터를 주는 구조이다.
- PC 1개에서 포트를 여러개 나눈 뒤 서버를 열어서 서비스 해도 되지만, 보안부터 시작해서 속도문제 등 다양한 문제 때문에 그렇게 하지는 않는다. 보통 웹서버와 백엔드서버를 나눈다.
- 위와같이 서버를 구성해서 서비스하게 된다.
- 개인 PC로 서버를 열어서 서비스하기엔 무리가 크다. 따라서 보통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다.
- 클라우드 서비스엔 Iaas, Paas, Saas가 있다.
- Iaas는 AWS(아마존)을 생각하면 되고, Paas는 netlify, Saas는 네이버 클라우드 생각하면 된다.
- Iaas (AWS)는 서버 자체를 빌려주는거라 리눅스같은 환경에서 프로그램 깔고 코드 실행해서 서버 실행하고 할 게 많다. 처음 접하는 사람은 그냥 Paas 서비스 이용하는게 마음 편하다. 익숙해진 다음에 경험해보자
프론트서버 배포 방법 (Paas)
- 무료 Paas 서비스 제공 사이트 : Netlify, Github(page)
- Netlify의 사용법은 아래의 유튜브 주소를 참고하고, github page기능은 검색으로 찾아보면 5분이면 사용 가능하다.
Netlify 사용 강의
- https://www.youtube.com/watch?v=4mRae9N2pU4&list=PLU9-uwewPMe2-R9-taf4oIjwrEZDgE-q2&index=5
백엔드서버 배포 방법 (Paas)
- 무료 Paas 서비스 제공 사이트: cloudtype
- 아래의 서비스로 백엔드서버와 DB를 올려서 사용하면 나만의 홈페이지를 쉽게 구축할 수 있다.
cloudtype 사용 강의
- https://www.youtube.com/watch?v=SGGebq48h3Y
그 외
- 간단한 공부용 프로젝트라면 위의 Paas 방법을 사용하면 되겠지만
전문적인 서비스를 만들어 제공하고 싶다 하면 AWS를 사용해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 본인의 컴퓨터로 서버를 돌리려는 생각은 접는게 좋을것이다.
PC를 24시간 켜 둬야하고, 사용자가 몰렸을 때 PC의 성능이 좋지못하면 속도 문제가 발생하고,
보안 문제 또한 신경써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